메뉴
Archive
Calendar
Hongdae
Nonsan
Chuncheon
Daechi
Busan
검색
검색
상상마당
홍대
논산
춘천
대치
부산
프로그램
공연
영화
전시
교육
숙박·대관
대관안내
춘천스테이
부산스테이
아트캠핑빌리지
문화예술교육센터
부산 플레잉룸
F&B
카페 사푼사푼
댄싱 카페인
세인트콕스
디자인스퀘어
소식·공지
공모/지원사업
소식/이벤트
웹진
공지사항
문의처
Home
소식·공지
공지사항
홍대
11th KT&G SKOPF 올해의 최종 작가 선발 공고
아티스트 지원 | 2018.12.27
공유하기
<div><strong>11</strong><strong>th KT&G SKOPF </strong><strong>올해의 최종 작가 선발 심사평</strong><br /> <br /> 제 11회 KT&G SKOPF 공개 포트폴리오 리뷰 및 심사는 많은 청중들의 열기와 함께 진행 되었다. 미래의 지원자들과 선후배를 응원하기 위한 작가들의 열기를 느낄 수 있었다. 얼마나 많은 작가들이 KT&G상상마당 한국사진가 지원 프로그램에 기대를 가지고 있는지 실감할 수 있는 자리였다. <br /> <br /> 예상 했던 대로 세 명의 후보 중 한 명을 올해의 최종 작가로 선정한다는 것은 쉽지 않았다. 동일한 트랙을 달리는 육상선수라면 모르지만 서로 다른 아이디어를 가진 작가의 창작물을 비교한다는 것은 애초부터 어려운 일이었다. 오랜 논의를 거쳐 11회 KT&G SKOPF 올해의 최종 작가로 <밤섬>을 작업한 김승구 작가를 선정하게 되었다. 촬영 허가를 받기 위한 오랜 기간의 노력 그리고 독재 시대에 국가발전을 위해 희생된 소수와 약자에 대한 작가의 관심사는 단순한 도시 풍경 사진 이상의 많은 기대를 하게 하였다. 대형카메라를 이용한 탄탄한 작업, 그리고 많은 양의 작업은 작가의 노력을 돋보이게 하였다. 그러나 프레젠테이션에서는 심사위원의 기대를 충족시킬만한 다양한 시각적 결과물을 전달하지 못해 조금 아쉬웠다. 김승구 작가가 최종작가로 선발됨에 있어 그 동안 작업해 온 도시에 대한 본인의 탄탄한 작업도 작가로서의 기대를 높이는 역할을 하였다고 생각한다. 알고 있는 세상과 실제의 간극을 파고 들겠다는 작가의 의도, 또 밤섬의 역사를 사진 작업과 연관 지어 전시에서 조금 더 보여 줄 것을 기대한다. <br /> <br /> 정정호 작가의 경우 2차 인터뷰 심사에서 보여주었던 신선함을 유지하지 못한 것이 아쉽다. 변화된 새로운 것을 제시해야 한다는 강박관념 때문이었는지 본인이 할 수 있는 장점을 표현하지 못하고 오브제의 제작에 힘을 쏟다 보니 사진적인 매력이 줄어 들지 않았나 싶다. 2차 심사에서 보여주었던 개인이 경험한 허구의 오브제가 주는 감동이 있었는데 머리와 손 만으로 만든 물건들이 감동을 주기에는 조금 부족하지 않았나 싶다. 또한 고성 작가는 작가의 섬세한 시선과 개인적인 경험이 어떻게 발전할지 기대 하였으나, 지난번 프레젠테이션과 비교하여 큰 변화가 없어서 아쉬운 생각이 든다. 생과 사의 문제에 대한 작가의 내적인 감각과 인식을 자연물과 자화상을 통해 직관적으로 바라보는 작업의 특성상, 6개월이라는 짧은 기간 동안 많은 변화를 느끼기에 부족한 면이 있었다.<br /> <br /> 작가에게 작품 선택의 능력은 좋은 작업을 하는 것 못지 않게 중요하다. 프레젠테이션을 통해서 본인의 작품을 효과 있게 보여주는 기술은 전시장이라는 공간에서 어떻게 자신의 작업을 보여주는 것, 그리고 인쇄된 책을 통해 작업을 완성도 있게 보여주는 것과 다 일맥상통하는 일이라고 생각한다. 작업을 보여주는 능력에 따라 더 나은 감동을 불러일으킬 수 있다는 것을 이번 프레젠테이션을 통해 더욱 절실히 느끼게 된다. 관람객들도 그리고 그 동안 노력한 3명의 올해의 작가들도 많은 것을 느낀 프레젠테이션이었다고 믿는다. 작가의 길은 누구와의 경쟁이 아니고 본인과의 싸움이다. 이러한 선의의 객관적인 비교의 기회를 본인의 발전에 도움이 될 수 있는 계기로 삼고 각자 먼 훗날을 바라보며 계속해서 작업해 나가길 바란다. </div> <div style="text-align: right;"> <br /> 2018년 12월 20일<br /> 심사위원장 구본창<br /> 심사위원 김옥선 신승오 전소록 정현 최성우 </div>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