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Archive
Calendar
Hongdae
Nonsan
Chuncheon
Daechi
Busan
검색
검색
상상마당
홍대
논산
춘천
대치
부산
프로그램
공연
영화
전시
교육
숙박·대관
대관안내
춘천스테이
부산스테이
아트캠핑빌리지
문화예술교육센터
부산 플레잉룸
F&B
댄싱 카페인
세인트콕스
디자인스퀘어
소식·공지
공모/지원사업
소식/이벤트
웹진
공지사항
문의처
Home
프로그램
공연
2025 춘천오페라페스티벌 창작오페라 <맥>
춘천의 역사와 전설을 담다
Chuncheon
공연정보 상세정보 테이블입니다.
기간
2025.08.22~2025.08.23
시간
20:00~22:00
장르
오페라
등급
전체관람가
가격
좌석별 상이
장소
KT&G 상상마당 춘천 야외공연장
공유하기
<h3>공지사항</h3> * 티켓오픈 : 2025년 07월 21일(월) 10시<br /> * 티켓 판매 마감 <br /> - 2025년 8월 22일(금) 공연 : 2025년 8월 21일 오전 10시 <br /> - 2025년 8월 23일(토) 공연 : 2025년 8월 22일 오전 10시 <br /> * 티켓 취소 마감 : 공연 전일 17시 <h3>할인정보</h3> - 국가유공자(본인 및 배우자), 유족증소지자(본인만) 50%할인<br /> - 학생(초,중,고,대학생 만24세미만 본인 신분증제시) 50%할인<br /> - 장애우(1-3급: 본인 및 동반1인) (4-6급: 본인만) 50%할인<br /> - 단체(10인이상) 20% 할인 <h3>작품 상세정보<br /> <img src="http://image.toast.com/aaaaab/ticketlink/TKL_5/m_main_0717.jpg" title="m_main_0717.jpg" /></h3> <p> </p> <p> </p> <p>총 2막, 러닝타임 120분, 인터미션 15분</p> <p> </p> <p>- 단장 / 기획 : 오성룡</p> <p>- 연출 : 오성룡</p> <p>- 조연출 : 장세윤</p> <p>- 지휘 : 백정현</p> <p>- 작곡 : 신동일 </p> <p>- 대본 : 김정훈</p> <p>- 음악코치 : 전혜영</p> <p>- 안무 : 백영태 발레단</p> <p> </p> <p>- 오페라출연진 </p> <p>신영 공주 : Sop. 이혜진</p> <p>슬기 장군 : Ten. 김요한</p> <p>태기왕 : Bar. 오동규</p> <p>후궁 허씨 : M.Sop 김순희</p> <p>흑마 장군 : Bar. 고재선</p> <p>이정 장군 : Ten. 조현호</p> <p>부하 장수 : Ten. 김요수아</p> <p> </p> <p>- 무대감독 : 황인철</p> <p>- 영상 디자이너 : 이영석</p> <p>- 무대 디자이너 : 김인서</p> <p>- 음향감독 : 신정문, 김헌철</p> <p>- 조명감독 : 김현우</p> <p>- 분장 : 신우경</p> <p>- 의상 : 코디아트 의상센터 장성임</p> <p>- 오케스트라 : 춘천시립교향악단</p> <p>- 합창단 : 강원오페라합창단</p> <p>- 어린이 합창단 : 예원어린이중창단 </p> <p> </p> <p>신동일 작곡가의 말 - 오페라 <맥>의 음악에 관하여..</p> <p> </p> <p>새로운 창작 오페라 <맥>은 춘천 지역에 흩어져 있는 고대국가 ‘맥’의 흔적들을 모티브로 하여 작가의 상상력을 바탕으로 풀어낸 이야기입니다. 우리가 정확히 알지 못하는 고대의 역사에 음악을 입히는 작업은 작곡가로서 매우 흥미롭고 의미 있는 도전이었습니다. 오페라 <맥>의 음악적 특징 몇 가지를 소개하고자 합니다.</p> <p> </p> <p>강원도는 음악적으로 ‘메나리’의 고장이라 할 수 있습니다. 민요 〈정선아리랑〉 등으로 대표되는 강원도의 메나리조는 아련하면서도 따뜻한 정서를 자아내는 독특한 선율적 매력을 지니고 있습니다. 물론 고대 맥국 시대부터 메나리조가 실제 존재했던 것은 아니지만, 이 작품이 강원도를 배경으로 한 만큼 음악적으로도 지역성을 표현하고자 여러 장면에서 메나리조를 적극적으로 활용했습니다.</p> <p>특히 대본에 등장하는 “어기야 다랑 어야데야”라는 인상적인 후렴구에 메나리조 가락을 붙여 작품 곳곳에서 다양한 방식으로 반복되도록 했습니다. 예컨대 서곡 이후 첫 두 곡에 등장하는 일꾼들의 노래, 1막 어린이 합창의 후렴, 2막 전투 승리 후의 잔치 장면, 마지막 비극적 정서까지 같은 후렴이지만 각기 다른 감정과 맥락 속에서 재현되며 깊은 울림을 만들어냅니다.</p> <p> </p> <p>서양 오페라의 양식을 따르되, 메나리조의 분위기를 보다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해 대금, 피리, 장구 등 국악기를 부분적으로 도입했습니다. 특히 민요 양식이 두드러지는 노래에서는 이러한 국악기들이 더욱 뚜렷한 존재감을 발휘하도록 했습니다.</p> <p> </p> <p>한편, 맥국의 적으로 설정된 백제에 대해서는 별도의 음악적 특색을 부여하지 않았습니다. 전라도 지역의 남도계면조 등을 사용해 대조를 표현할 수도 있었지만, 이 작품이 음악적 대결 구도로 비춰지기를 원하지 않았습니다. 대신, 이 오페라가 강원도의 이야기라는 점에 집중해 음악적으로 그 정체성을 드러내고자 했습니다.</p> <p> </p> <p>오페라 <맥>의 서곡에 대해 이야기하며 글을 맺고자 합니다. 이 작품의 서곡은 크게 세 부분으로 구성됩니다.</p> <p>첫 부분은 이 오페라가 다루는 비극적 서사를 암시합니다. 2막에서는 절망적인 파국을 맞게 되지만, 서곡에서는 그 슬픔을 너무 강하게 표현하기보다는 조심스럽고 서정적인 선율로 어루만지듯 풀어냈습니다.</p> <p>두 번째 부분에서는 강원도를 대표하는 민요 〈정선아리랑〉의 가락이 등장하여, 이 오페라가 강원도의 이야기임을 다시금 환기시킵니다.</p> <p>마지막 부분은 2막 초반의 합창곡 〈승리의 노래〉의 선율을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비록 맥국의 멸망을 다루는 비극적 이야기지만, 작품이 단순한 절망으로 끝나지 않기를 바랐습니다. 오히려 고대의 비극을 넘어 지금까지 이어지는 인간의 역사, 수많은 역경을 극복해 온 우리 민족의 정신을 서곡에 담고자 했습니다. 변화하는 서곡의 흐름을 따라 작품을 감상하신다면, 음악이 전달하는 감정이 더욱 깊게 와닿을 수 있으리라 생각합니다.</p> <p> </p> <p>이 작품을 통해 여러분 각자의 삶에서도 ‘승리의 노래’를 부르시는 순간이 오기를 진심으로 기원합니다. <br /> <br /> <br /> </p> <h3>기획사 및 제작사 정보</h3> 주최/주관 : (사)춘천오페라페스티벌 조직위원회<br /> 후원 : 강원특별자치도, 춘천시, 텐즈클럽, KT&G 상상마당 춘천<br /> 문의 : 033-255-4417<br /> <br /> <br /> <br /> <br /> * 본 공연은 KT&G 상상마당 춘천의 <2025 춘천해드립니다> 선정작입니다.
목록